군대서 쓰는 '암구호', 가족 간 써야 할 까닭은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 이광빈입니다. 우리 사회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, 지속가능한 사회를 모색하는 뉴스프리즘 시작합니다. 이번주 뉴스프리즘이 풀어갈 이슈, 함께 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"엄마, 저 납치됐어요", 다급해하는 딸의 목소리도 당황하지 말고, 진짜인지, 인공지능이 만들어낸 게 아닌 지 한번 의심해봐야 하는 시대가 됐습니다.'검사를 사칭하며 개인정보를 요구한다'는 보이스피싱의 기본 공식은 이미 옛말이 됐습니다. IT 기술을 동반한 보이스피싱 수법은 끊임 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. 주변에서 보이스피싱 피해자를 봄직한데도 피해자가 계속 생겨나는 이유입니다<br /><br />작년만해도 5천억원 이상의 피해액이 발생했습니다. 달라지는 보이스피싱 수법과 피해 현황, 그리고 대책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. 먼저 안채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통장협박에 택배문자까지…교묘한 피싱 수법에 피해 속출 / 안채린 기자<br /><br />[기자]나날이 발전하는 보이스피싱 수법.<br /><br />최근에는 공개된 계좌번호를 악용한 방법까지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보이스피싱범이 피싱 피해자의 피해금 일부를 공개된 계좌번호에 송금한 뒤 해당 계좌의 주인이 피싱 가해자라며 경찰에 허위로 신고해 계좌가 지급정지 처리되도록 만드는 겁니다.<br /><br />피싱범들은 피해자들에게 계좌를 되찾고 싶으면 돈을 달라는 식으로 협박해 금품을 갈취해왔습니다.<br /><br />문자를 이용한 '스미싱' 또한 기승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020년에는 95만 건이 넘는 스미싱 문자가 전송된 것으로 집계됐고, 올해는 6월까지 12만 건 넘는 스미싱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 "이 문제를 취재하는 순간에도 카드가 하나 개통됐다는 문자가 왔는데요. 본인이 개통한 게 아니면 아래 적힌 번호로 연락하라며 전화를 걸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 "전화를 하게 되면 '휴대폰에다가 인증 문자를 보낼 테니까 인증 문자를 불러줘' 이렇게 할 수 있죠. '내 휴대폰에 있는 모든 정보를 상대편이 다 가져가도 되냐'를 실질적으로 인증하는 꼴…"<br /><br />이런 식으로 빼낸 개인정보를 토대로 피싱범들이 대출을 받거나 예금을 인출할 수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외국에서 걸려온 전화번호를 국내 번호로 바꿔주는 중계기를 사용하거나, 코인 손실을 보전해주겠다며 다른 코인을 사도록 유도하는 등 보이스피싱은 다양한 형태로 피해자들에게 접근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법 다변화에 피해자들의 고통은 지속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5천억원을 넘었고, 매년 수만 건 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2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피해자 수가 점점 늘어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젊은이들에게 익숙한 전자기기를 통해 범죄가 이뤄지는 탓이라고 분석합니다.<br /><br /> "인터넷 뱅킹으로 유도해서 어떤 일들을(피싱을) 하는 건데 스마트폰 많이 쓰고 인터넷 뱅킹에 익숙한 세대로 (피해) 연령층이 좀 낮아졌다…"<br /><br />수법의 고도화로 연령대에 따라 범죄가 '맞춤형'으로 일어나는 만큼 안전 지대는 없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(피싱범들이) 맞춤형 보이스피싱을 해가지고 20대는 기관 사칭형 그리고 30~40대는 대환대출형, 50대도 마찬가지지만 취약계층은 대부분 다 지인 사칭형입니다."<br /><br />모두가 보이스피싱 피해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전화나 문자로 개인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를 자제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.<br /><br />#보이스피싱 #통장협박 #스미싱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불법 대출광고 문자의 대명사로 알려진 '김미영 팀장', 모두 기억하실 겁니다. 요즘엔 '카카오톡' 같은 메신저를 이용한 사기가 기승인데요.<br /><br />이렇게 보이스피싱 범죄는 수법과 유형이 날로 진화해 한쪽을 막아도 다른 쪽에서 튀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 번 대책을 내놨다 해서 안심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. 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한쪽 막으니 다른 쪽이…정부 보이스피싱 대책은 / 차승은 기자]<br /><br />[기자] "휴대전화가 고장 나 수리를 맡겼다"며 "보험 처리를 위해 신분증 사진을 보내달라"는 딸의 문자.<br /><br />딸은 보험금을 청구하기 위한 앱 설치 링크도 보냈습니다.<br /><br />알고보니 이렇게 설치한 앱은 원격제어 프로그램.<br /><br />눈 깜짝할 사이 예금액 등 수천 만원이 빠져나갔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자녀인 척 30대에서 50대 사이 피해자들에게 접근해 2억 6천만 원을 가로챈 일당이 지난 5월 검찰에 넘겨졌습니다.<br /><br />'카카오톡' 등 메신저로 지인을 사칭해 금전을 직간접적으로 가로채는 일명 '메신저 피싱'인데, 최근 피해 사례가 가파르게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보이스피싱 10건 중 9건은 메신저피싱이었습니다.<br /><br />메신저피싱 피해액은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액의 64%인 927억 원으로 2년 사이 무려 2.5배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대출 빙자, 기관 사칭이 대부분이었던 보이스피싱 유형이 불과 몇 년 사이 크게 뒤바뀐 겁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재작년 12월 '보이스피싱 대응 범정부 태스크포스(TF)'를 꾸리고 방지 대책들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먼저 TF는 경찰과 금감원,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개별화된 신고 창구를 일원화해, 경찰 신고 하나로 사건 접수부터 피해 구제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했습니다.<br /><br />대포폰 대량 개통을 막기 위해 개인이 통신사에서 개통할 수 있는 휴대전화 수를 월 3개로 제한하고,<br /><br />통장이나 카드 없이 ATM으로 입금할 수 있는 한도도 1회 50만 원으로 절반 줄였습니다<br /><br />정부가 통신과 금융 분야를 망라한 대책을 쏟아냈지만 문제는 사기 수법이 날로 진화한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수 년 새 메신저피싱이 새롭게 등장한 것처럼 법과 제도의 틈새를 노린, 새로운 수단과 방법을 이용한 사기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이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 "보이스피싱 못지 않게 경제적 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신종 사기 범죄가 성행하고 있는데… 실장님 혹시 이런 문자 메시지 받아...